fnctId=eduSummary,fnctNo=67
이산수학( 2025/2 ) Discrete Mathematics | 이수구분 | 전선 |
---|---|---|
교과목개요 | 1. 교과목의 소개 및 목표 이산치구조란 수,문자, 기호와 같은 자료들의 구조와 논리 및 관계들에 대한 수학적 구조이다.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여 가공한 것을 정보라고 한다. 자료의 정보화를 위하여 그 자료가 가진 구조를 파악하고 구조에서 파생되는 성질들을 규명함으로써 효율적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둔다. 2. 교과 과정의 목표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분야의 기본이 되는 수학적인 내용을 다룬다. 특히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수학적구조와 개념을 숙지하고 이를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수학적 기초를 확고하게 다져두는 데 중점을 둔다. 컴퓨터의 다양한 분야(예:암호학)에 기초가 되는 수학기본개념들을 학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직간접적으로접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데이터마이닝( 2025/2 ) Data Min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로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의 개념과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각화에 대해 학습한다. 데이터 마이닝의 주요 알고리즘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 시각화에 대해 살펴본다. | |
시계열분석( 2025/1 ) Time-series Analysis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다룬다. 강의는 시계열 자료의 탐색, 기본적인 분석 기법, ARIMA 모델링, 다중 시계열 데이터의 활용, 최신 시계열 분석 기법을 포함한다. | |
데이터시각화( 2025/2 ) Data Visualization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와 기술을 실습하여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스킬을 익힌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능력을 개발한다. | |
텍스트마이닝( 2025/2 ) Text Min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일정한 규격이나 형태를 지닌 숫자 데이터와 달리 형태와 구조가 다른 데이터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특히 자연어 처리와 텍스트 마이닝의 핵심 개념과 기법을 다루며,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텍스트 전처리, 텍스트 마이닝, 정서 분석, 주제 모델링 등 다양한 텍스트 분석 기법을 학습하며, Python과 R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다루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 |
AI+X( 2025/2 ) AI+X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 AI+X는 AI(인공지능) + X를 나타내는 용어로써 모든 산업에 AI 기술이 융합 및 응용되는 기술을 의미함. ◦ 해당 교과목에서는 머신러닝, 딥러닝, 생성형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습득한 후, 해당 기술들을 산업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 ◦ 단순히 공학과 산업에만 머물지 않고 의료, 헬스케어, 금융, 보안, 디자인 및 범죄 등 다양한 분야에 오픈 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학습에 사용하면서 인공지능 모델을 관심있는 분야에 최적화 할 수 있는 기술 및 능력을 함양함. | |
UNIX시스템프로그래밍( 2025/2 ) UNIX System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UNIX/LINUX 운영체제의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고급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한다. 운영체제의 개념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과제 및 프로젝트를 부여하여 문제 해결 능력 및 C의 고급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 |
자바( 2025/2 ) Java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객체지향언어 교과에서 습득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자바 언어를 활용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한다. 자바의 기본 문법과 클래스와 객체의 개념, 자바의 기본 패키지 사용, 입출력 방법 등 자바를 활용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습득하고, 스레드나 이벤트 처리, 기본 GUI 프로그램과 같은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자바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이후의 웹 프로그래밍이나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프로그래밍과 같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객체지향언어와 자료구조 교과를 선수강하는 것을 권장한다. | |
웹서비스프로그래밍( 2025/2 ) Web Service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현재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 아키텍처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직접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과 JSP나 ASP 프로그래밍, JDBC/ADO.NET 프로그래밍의 기본 기술을 습득한다.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웹 서버를 운영해 보도록 함으로써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 |
소프트웨어보안( 2025/1 ) Software Security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프로그램중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보안약점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보안약점을 포함한 소스코드는 수행시에 악의적인 공격자가 공격할 여지가 있는 취약한 프로그램이 된다. 최근 많이 발생하는 보안상의 취약점에 대해 이해하고 개발단계에서 이를 줄이기 위한 보안 프로그래밍 방법을 습득한다 | |
네트워크보안( 2025/1 ) Network Security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네트워크을 통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보안 문제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보안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과 기술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교과의 목표는 네트워크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개념을 익히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프로토콜들의 보안 문제와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격 유형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들과 네트워크 위협에 따른 대처 기술들에 대해서 익힘으로써 네트워크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 |
인공지능개론( 2025/1 )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기본 원리를 이해하며, 인공지능의 발전방향과 응용 분야에 대해서 학습한다.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방법, 표현, 추론, 학습 등 인공지능 모델의 기본 이론 및 응용 사례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본다 | |
파이썬AI프로그래밍( 2025/1 ) AI Programming Using Python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본 교과목에서는 AI 프로그래밍 환경 이해, Python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델링, 학습, 추론 기법에 대한 기초 실습을 수행한다 | |
C++프로그래밍( 2025/2 ) C++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객체지향의 개념을 이해하고 C++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교과내용은 객체지향 개발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객체지향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는데 중점을 두었다 | |
자바프로그래밍( 2025/1 ) JAVA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자바의 기본 문법과 클래스와 객체의 개념, 자바의 기본 패키지사용, 입출력방법 등 자바를 활용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습득하고, 스레드나 이벤트처리, 기본 GUI 프로그램과 같은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 |
Open소스프로그래밍( 2025/2 ) Open Source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는 소스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그 코드를 보고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만족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본 교과에서는 SW개발자의 필수 소양이 되고 있는 OSS의 기본 개념과 역사, 라이선스, 커뮤니티, 프로젝트 및 개발과정, 비즈니스 모델, 정책, 현황과 전망 등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OSS를 실행해 보고 간단한 OSS를 제작해 봄으로써 OSS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높인다 | |
선형대수학( 2025/1 ) Linear Algebra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디지털 세계가 더욱 발전되고 인공지능을 비롯한 메타버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형대수학과 관련된 지식이 필수적이다. 선형대수학은 복잡한 수학적 체계를 배제하고 선형(linear)이란 제한된 분야에서 탐구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공학계열을 비롯하여 자연계열과 사회계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친근하고 쉽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선형대수의 기초를 이해하고 그것과 연관되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 한다 | |
확률및통계학( 2025/1 ) Introduction to Statistics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빅데이터 시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문학 및 경영, 수학, 컴퓨터공학, 산업공학, 의생명과학 등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료들의 특성을 수학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들을 추출해내는 통계적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 |
자료구조( 2025/1 ) Data Structure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료형태와 저장된 자료를 다루는 기본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배열, 스택, 큐, 연결리스트, 트리등과 같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이들을 다루기 위한 함수들, 그리고 기본적인 정렬방법 등을 학습하며, 본 내용을 기반으로 파이썬 프로그래밍 실습과 설계과제를 통하여 프로그램 능력을 집중 배양한다 | |
컴퓨터구조( 2025/2 ) Computer Architecture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초 지식을 기반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기본요소들의 개념을 확립하고 컴퓨터구조의 응용 및 소프트웨어응용 기술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 컴퓨터시스템의 기본원리와 동작 및 CPU 내부구조와 동작원리, 메모리 구조, 입출력장치들의 인터페이스와 동작원리, 파이프라인, 병렬처리 등을 학습한다 | |
데이터베이스( 2025/2 ) DataBase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널리 활용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기본 개념과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질의어 등을 학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핵심 이론인 트랜잭션 관리와 동시성 제어 및 파손회복 기번에 관해서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상용 DBMS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모델링하고 이를 응용프로그램 작성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
데이터사이언스( 2025/1 ) Data Science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데이터 사이언스는 통계, 과학적 방법, AI,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를 결합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가치를 추출하는 것으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정제, 집계, 조작하는 데이터 준비 과정에서부터 고급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작업까지 모든 과정이 필요하다. 파이썬이나 R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정제, 분석, 예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학습하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 정제하는 방법과 간단한 통계 처리와 회귀분석, 분류, 군집화 등의 데이터마이닝 알고리즘들을 학습한다 | |
AI신호처리( 2025/2 ) AI Signal Process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디지털 신호처리는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컴퓨터 또는 디지털 집적회로를 통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바꾸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신호처리 이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인공지능 기술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신호처리 기법에 대해 학습하고, 각자의 연구 주제에 적용하는 시간을 갖는다. 영상 및 음석, 생체 신호, 생물 정보 등 다양한 신호에 대한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
머신러닝( 2025/2 ) Machine Learning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본 과목은 학습 시스템이 데이터로부터 모델을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추론할 수하는 기계학습을 배운다.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Dimensionality reduction, Ensemble learning등 기계학습의 기본 개념과 원리, 모델 구조, 학습 알고리즘 및 관련 수학 지식을 학습 한다 | |
웹프로그래밍( 2025/2 ) Web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현재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 아키텍처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직접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과 JSP나 ASP 프로그래밍, JDBC/ADO.NET 프로그래밍의 기본 기술을 습득한다.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웹 서버를 운영해 보도록 함으로써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 |
알고리즘( 2025/1 ) Algorithms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알고리즘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고안할 수 있는 능력 배양한다. 데이터 구조와 함께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과목이며, 본 과목에서는 각종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프로그래밍 실습과 과제를 통하여 알고리즘 고안 능력을 학습한다 | |
생성형AI( 2025/2 ) Generative AI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생성형AI는 인간이 발화하는 언어 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자연 언어 이해 혹은 그러한 형태를 다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하는 제반 기술을 의미한다. 본 강의에서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기계번역, 챗봇 등 자연어처리 분야에 활용되는 기술을 소개한다 | |
수치해석( 2025/2 ) Numerical Analysis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본 교과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학,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교과이다. 오차, 행렬 처리, 함수의 근사, 수치 미적분의 원리와 개념을 익히고 컴퓨터를 활용하여 문제의 해를 탐색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컴퓨터네트워크( 2025/1 ) Computer Network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네트워크구조, 전송매체 및 계층별 프로토콜을 소개하며, 응용계층과 전송계층의 API인 소켓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전송과정을 학습한다.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네트워크구조, 전송매체 및 계층별 프로토콜을 소개하며, 응용계층과 전송계층의 API인 소켓 프로그램을 통해 메시지 전송과정을 학습한다 | |
운영체제( 2025/1 ) Operating System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시스템, I/O관리에 대한 개념 이해 및 프로세스 관리기법과 메모리 관리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능력 배양한다. 운영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표로 운영체제의 주요개념을 소개하고 현대 운영체제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다룬다. Linux/Unix에 대한 소개 및 실습을 통하여 운영체제 이론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개방형 시스템을 둘러싼 다양한 주제에 대해 소개한다 | |
빅데이터분산처리( 2025/1 ) Distributed Processing for Bigdata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본 교과에서는 대용량의 빅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분산처리, 맵리듀스, 배치의 개념을 이해하고 하둡, 스파크, 카프카 등을 활용하여 대용량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
AI영상처리( 2025/1 ) AI Image Process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본 교과목에서는 영상처리의 기본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인공지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상에 대한 기본 개념과 다양한 처리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영상의 기본 구조, 밝기 변환, 색상 모델,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필터링 기법, 영상 특징 추출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오픈 라이브러리(Opencv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론에 대한 실습 또한 진행한다 | |
딥러닝( 2025/1 ) Deep Learning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본 수업은 최근 인공지능 발전을 이끌고 있는 현대적 신경망과 관련된 분야인 딥러닝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실제를 공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딥러닝의 기본이 되는 DNN (Deep Neural Network)의 구조 및 기본 동작 방법, 학습 방법 (Backpropagation, Gradient Descent 등)을 습득하고, Tensorflow/PyTorch와 같은 딥러닝 툴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인공지능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링 기법을 습득한다 | |
딥러닝프레임워크( 2025/2 ) Deep Learning Framework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딥러닝 원리와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딥러닝 프레임워크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Tensorflow/PyTorch 등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함을 통해 딥러닝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능력을 배양한다 | |
종합설계기획( 2025/2 ) Capstone Design Planning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교과과정 동안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연구 과제를 선정하고 이에 관한 문헌조사 및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연구주제를 기획한다 | |
인간중심의AI( 2025/1 ) Human-centered AI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인간 중심 AI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AI 기술의 긍정, 부정 활용 사례를 각각 소개하고, 기술 혁신과 그에 따르는 사회적·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협력적 관계, 다중 이해적인 관계에서 노력하며 어떻게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 컴퓨터과학과 AI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본인들이 개발하는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생각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
인공지능과HCI( 2025/1 ) AI & Human Computer Interaction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AI는 이용자와 이용자의 주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 속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원하는 것을 심층적으로 예측하고, 맞춤 옵션을 제시한다. 음성인식, 영상인식. 동작인식 등 사용자의 패턴인식 등을 통해 만들어지는 미래의 지능형 HCI를 논의한다 | |
AI이노베이션( 2025/1 ) AI Innovation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AI이노베이션은 로봇공학, 게임, 소비자 모델링 등 광범위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기계 학습 기법 중 하나이다. 특히 게임 AI나 자율주행 등 업계 활용성이 높아 인공지능의 미래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강화 학습의 방법론으로 마르코프 의사결정 과정, 동적 프로그래밍에 의한 계획, 모델 프리 예측, 모델 프리 제어, 가치 함수 근사, 정책 그레디언트, 학습과 계획, 탐구 및 탐사 등을 다루고자 한다 | |
AI블록체인( 2025/2 ) AI Blockchain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ABCD 기술(인공지능(AI)·블록체인(Blockchain)·클라우드(Cloud)·데이터(Data))을 융·복합해 새로운 암호보안 인증체계와 데이터·네트워크 관리체계, 사물인터넷(IoT) 장치 관리체계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기술을 다룬다. 특히, 센싱한 정보를 신뢰할 수 있고 투명하며 안전한 방법으로 활용해 인공지능에 기반한 최적화된 결과를 만드는 것에 대해 학습한다 | |
빅데이터+X( 2025/2 ) BigData+X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공공 및 민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구현된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 분석과 더불어 사업화 성공요소를 파악한다. 다양한 영역에서 구축되어 있는 빅데이터 환경의 조합을 통한 추가적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론과 더불어 이를 구현하는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 |
종합설계1( 2025/1 ) Capstone Design 1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종합설계(Capstone Design)는 대학 교육과정 중 배운 것을 바탕으로 하나의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 발표하는 전 과정을 학습하는 종합설계 교육과정이다. 이를 통해 공학적인 문제해결능력 습득 및 팀원 간의 협력을 통한 의사소통능력과 발표능력을 배양한다. 졸업반 학생들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처음으로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보고 알리는 실험적 계기가 되게 한다. 2~4명이 팀을 이루어 작품 주제 선정과 제안서 발표, 시스템 설계,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현, 본 시스템 구현에 이르는 과정을 수행한다. 각 단계에서 진행 과정을 발표하고 시스템 시연을 수행함으로써 팀원들 사이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과 시스템 개발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발표 능력 등을 배양한다 | |
종합설계2( 2025/2 ) Capstone Design 2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개요 | 종합설계(Capstone Design)는 대학 교육과정 중 배운 것을 바탕으로 하나의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 발표하는 전 과정을 학습하는 종합설계 교육과정이다. 이를 통해 공학적인 문제해결능력 습득 및 팀원 간의 협력을 통한 의사소통능력과 발표능력을 배양한다. 졸업반 학생들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처음으로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보고 알리는 실험적 계기가 되게 한다. 2~4명이 팀을 이루어 작품 주제 선정과 제안서 발표, 시스템 설계,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현, 본 시스템 구현에 이르는 과정을 수행한다. 각 단계에서 진행 과정을 발표하고 시스템 시연을 수행함으로써 팀원들 사이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과 시스템 개발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발표 능력 등을 배양한다 | |
2D게임프로그래밍( 2025/2 ) 2D Game Programming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2D 게임 개발에 있어서 꼭 필요한 요소인 스프라이트, 애니메이션, 알파 블렌딩, 충돌 검사, 폰트 출력, 사운드 구현, 스크롤링과 타일링,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 처리, 입자 시스템 등의 구현 기법을 실습을 통해서 익히고, 이를 기반으로 직접 2D 게임을 제작해봄으로써 게임 개발의 기초를 완성한다. | |
게임엔진1( 2025/1 ) Game Engine1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게임 엔진의 기본개념, 렌더링 엔진, 애니메이션 엔진, 서버엔진, 게임 인공지능, 맵 에디터, 게임 데이터 추출기, 게임진행 모듈 등 게임 엔진의 구성과 요소를 이론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다양한 게임 엔진을 활용하여 게임 엔진의 구성과 요소를 실습으로 확인해 본다. | |
게임엔진2( 2025/2 ) Game Engine2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3D 게임 엔진을 활용하여 게임을 제작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개인별 또는 팀 단위의 게임 제작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게임 제작의 여러가지 요소를 경험하고 게임 엔진을 활용하는 실무적인 능력을 학습한다. | |
컴퓨터과학개론( 2025/2 )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개요 | 컴퓨터의 기초적인 지식을 전반적으로 습득하며 기초지식 및 응용분야 적용을 위한 예비지식을 습득한다.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SW대학 학생들이 컴퓨터를 배우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기초적인 지식을 전반적으로 습득하고, 이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향후 응용분야 및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예비지식을 학습하도록 한다. | |
대학영어( 2025/1 ) English | 이수구분 | 교선 |
교과목개요 | 대학생으로서 읽어야 하는 쉬운 영문자료를 읽고, 해석하고, 단순한 문장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는 데 목표를 둔다. | |
영어쓰기( 2025/2 ) Writing in English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쓰기를 중심으로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영어 상황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문장의 작성에서부터 단락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한다. 영문 작성 능력을 강화하여 의사전달력을 높이는데 목표를 둔다. | |
프로그래밍언어( 2025/2 ) programming language | 이수구분 | 기필(교양) |
교과목개요 | C언어에 대한 기본 개념과 문법을 학습하고, 실습과 과제를 통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기본을 학습한다. C언어의 기본 구조와 의미(Semantic)을 익혀서 C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갖추게 하고, C언어의 구조체,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자료 구조와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강의와 병행한 실습 및 과제를 통해 익힌다. 윈도우 환경과 Unix 환경에서 실습해 보도록 하여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필요한 프로그램 능력 배양한다. | |
탐구와실천( 2025/2 ) Exploration and Practice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미래사회와 직업세계의 변화를 이해하고, 사회인으로서 지역사회 기반 문제해결 및 실천 능력을 높이도록 탐구 중심의 실천적 훈련 기회를 제공한다. 창의성 이론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전공학습 진입 전 문제해결역량 및 팀기반 자기설계학습을 강화한다. | |
대학수학1( 2025/1 ) Mathematics1 | 이수구분 | 기선(교양) |
교과목개요 | 전공학습에 기초가 되는 수학의 기본원리를 학습한다 | |
대학수학2( 2025/2 ) Mathematics2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다변수함수의 미분과 적분 그리고 벡터와 벡터함수를 소개한다. 편미분, 방향도함수, 평면과 공간에서의 좌표계들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다중적분을 다룬다. | |
파이썬프로그래밍( 2025/1 ) Python Programming | 이수구분 | 기선(교양) |
교과목개요 | 전공 분야별 요구에 따른 컴퓨터에 대한 기초지식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기초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통해 전공 분야의 문제해결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융합 역량을 향상시킨다. | |
일반물리학1( 2025/1 ) GeneralPhysics 1 | 이수구분 | 기선(교양) |
교과목개요 | 공학의 기초가 되는 힘, 에너지, 운동량, 물질의 상태, 유체, 탄성, 파동 등 역학의 기본 원리와 개념들을 이해한다. | |
글로벌 잉글리시( 2025/2 ) Global English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영어를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훈련하여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에 자신감을 가지게 하고,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영어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인사나 소개, 친숙한 사물에 대한 묘사 및 습관적인 행동에 대한 설명에서부터 상담이나 토론 및 발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
글쓰기( 2025/1 ) Writing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글의 논리를 파악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요약할 수 있도록 읽기 훈련을 병행하여 글쓰기를 한다.글의 구조와 글쓰기 원리를 배우고, 대학과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양식의 글을 작성해 본다. 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 표현과 논리적 설득 방식, 비판적 글쓰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
가치와비전( 2025/1 ) Value & Vision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대학 1학년은 대학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구체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기에 중요한 시기이다. 본 교과의 목적은 우리 대학 신입생이 나 • 타인 • 공동체 • 자연에 대한 바른 가치 형성을 바탕으로 엔지니어의 사회적 역할과 자신의 전공 간의 관계성을 발견하고, 자신의 진로설정에 맞추어 대학생활 로드맵을 도출함으로써 대학인으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데 있다. | |
진로와미래(취업과창직)( 2025/7 ) Career for Future | 이수구분 | 교필 |
교과목개요 | 자신의 적성과 강점, 직업 가치관을 파악하고 비전 설정을 위한 직무, 산업, 경력개발 방법 등을 학습함으로써 자신의 진로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준비한다. 2학년 학생들이 조기에 자신의 적성, 강점, 직업 가치관 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개인별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